본문 바로가기

실생활 유용정보13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기간, 신청서류, 유지방법 2023년 5월 1일부터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이 시작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일하는 중간계층 청년이 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자산형성 지원 및 자립을 돕는 사업으로써 2023년에는 총사업비가 2,276억에 이르러 보다 많은 청년들이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기간, 신청방법, 신청서류, 유지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지원대상과 가입 시 소득기준액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지원대상은 기본적으로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와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100% 이하로 구분됩니다. 신청일 기준 반드시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이 있어야 하며 소득이 없는 경우에는 아쉽게도 지원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그리고 아래의.. 2023. 4. 28.
‘청년월세 한시특별지원’ 사업의 지원대상, 지원기준, 지원내용, 신청방법 청년월세 한시특별지원 사업은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한 정부지원 정책으로써 이 사업을 통해 많은 청년들이 사회에 나가는 첫걸음이 보다 가벼워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정책은 국토교통부가 총괄하여 21년 8월에 국무회의 의결을 통해 사업 시행이 확정되었으며 22년 8월부터 23년 8월까지 한시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청년월세 한시특별지원 사업의 지원대상, 지원기준, 지원내용,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청년월세 한시특별지원 사업의 지원대상 청년월세 한시특별지원 사업의 지원대상은 청년기본법상의 만 19세~34세의 청년으로 부모님과 별도로 거주하고, 임차보증금이 5천만 원 이하 및 월세 60만 원 이하의 주택에 거주하는 무주택자입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나이는 2023년 기.. 2023. 4. 27.
손 없는 날 뜻과 올해 손 없는 날 정리 '손 없는 날'이라는 말 들어보셨죠? 보통 이삿날 결정할 때 손 없는 날인지 따져서 날짜 결정하시는 분들 많은 신데요. 손없는 날의 유래와 올해 손 없는 날이 언제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손 없는 날의 유래 손(損)은 사람을 방해하고 해코지 하는 악귀나 귀신을 말합니다. 그래서 예로부터 '손 없는 날'이란 악귀나 귀신이 돌아다니지 않는 날로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귀한 날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인생의 대소사인 혼례, 개업, 이사 등 중요한 날짜를 정하는 기준이 되곤 합니다. 이는 우리나라 전통 민속신앙의 하나인데요, 현재까지도 이를 중요하게 여겨 손 없는 날에 이사비용이 더 비싸게 들고 심지어 이사업체 예약이 어려워서 이삿날로부터 한참 전에 예약을 해야 하기도 합니다. 반면에 '손 있는 날'은 악귀나 귀.. 2023. 3. 25.
청년도약계좌의 내용, 신청조건. 청년희망적금과 비교 청년도약계좌 출시 일정이 6월로 발표된 후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청년도약계좌란 무엇인지부터 기존 청년희망적금과의 비교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현 정부에서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내놓은 방책입니다.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비례하여 일정 비율로 정부가 기여금을 지원하고, 계좌에서 발생한 이자소득 등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내가 돈 넣으면 정부가 일정 금액 더 넣어주고 이자에 대해서는 비과세하겠다는 겁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주요 내용 청년도약계좌의 납입액은 월 최대 70만 원까지 가능하고, 정부기여금은 3% ~ 6%(월 최대 24,000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 본인 연 총급여가 6천만원 이하인 경우에만 정부.. 2023. 3. 24.